EBS(Elastic Block Store) ? 데스크톱을 구매해보신 분이라면 추가 옵션에 HDD 나 SSD를 더 추가할건지 선택하는 창을 보신적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이처럼 EBS(Elastic Block Store)는 EC2용으로 설계된 사용이 쉽고 확장 가능한 추가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물론 탈부착도 가능하며 하나의 EBS를 여러개의 EC2 인스턴스에 부착도 가능합니다. EBS 특징1) 스냅샷(Snapshot) 기능특정 시간 · 상황에 EBS 상태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즉, 사진을 찍어둔다는 말로 스냅샷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간혹 문서 작업을 하다가 Ctrl+S를 못눌러 문서를 날려보신 적이 있으실텐데, 이처럼 스냅샷은 복구를 도와주는 백업 방식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고 ..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 AWS에서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자신이 필요한 서비스를 빠르게 이용 및 삭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수백가지의 서비스 중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서비스 중 하나가 바로 오토스케일링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이란, 사용자의 설정 혹은 모니터링에 따라 인스턴스의 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서버 부하 및 자원낭비를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스케일링 기법기본적으로 스케일링 기법은 스케일업(Scale-Up)과 스케일아웃(Scale-Out)으로 나뉘게 됩니다. 간략하게 스케일 업은 컴퓨팅 파워의 성능은 올린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게임을 좋아하시는 분이면 아시다시피, 게임에는 최소 사양이라는..
AWS에는 ELB(Elastic Load Balancer)라는 로드밸런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ELB의 종류로 GWLB(Gateway Load Balancer), ALB(Application Load Balancer), NLB(Network Load Balancer)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 되지만, 그 중 오늘은 NLB(Network Load Balancer)을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Network Load Balancer 실습NLB란?네트워크 로드밸런서는 OSI 7계층 중 4계층(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초당 수백만 개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로드 밸런서가 연결 요청을 바드면 기본 규칙의 대상 그룹에서 대상을 선택하여 지정된 포트에 있는 대상에 대한 TCP 연결..
Load Balancer ?로드밸런싱은 서버에서 처리해야 할 업무(트래픽)을 균등하게 배포하여 하나의 서버에서 과다한 트래픽 발생이 발생하여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다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트래픽이 한 곳에 집중되며 불편함을 호소했던 적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가령 좋아하는 가수의 콘서트를 가기 위해 티켓팅을 시도하는 중에 웹 서버에 부하가 걸리며 터진다면 티켓팅을 시도하는 사용자분들에게는 이보다 큰 재앙은 없을 것 입니다. 이처럼 서버의 부하가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로드 밸런싱 기법이 매우 필수적이며, 서버 각각 스펙의 퍼포먼스를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중요한 기법 중 하나 입니다. 로드 밸런서 기법 종류로드 밸런서는 서버의 성능을 고려해야 하기에 기법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https://js990317.tistory.com/29 [VPC] 2. A-Z까지 커스텀 VPC 생성해보기 이번 실습에는 커스텀 VPC와 Subnet을 만들고 인터넷이 연결가능한 Public Subnet과 Private Subnet으로 나누어 만들어 주려고합니다. 마지막으로 NACL을 설정하고 만들어진 VPC에 EC2를 띄어보려고 합니다. 1 js990317.tistory.com 지난 실습때 Custom VPC 생성을 통해 퍼블릭 서브넷과 프라이빗 서브넷을 나누고 그안에 EC2까지 올려보는 실습을 했었습니다. 프라이빗 서브넷안에 생성한 EC2는 퍼블릭 주소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인터넷과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프라이빗 서브넷 역시 DB서버의 업데이트 등 인터넷과의 통신이 필요할때가 존..
이번 실습에는 커스텀 VPC와 Subnet을 만들고 인터넷이 연결가능한 Public Subnet과 Private Subnet으로 나누어 만들어 주려고합니다. 마지막으로 NACL을 설정하고 만들어진 VPC에 EC2를 띄어보려고 합니다. 1. Custom VPC 만들기 기본 VPC를 제외한 Custom VPC를 한번 생성해보록 하겠습니다. 2. Subnet 생성 저는 CIDR를 16으로 지정하여 16비트의 호스트 주소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VPC망이 잘 생성됐음을 알 수 있고, 하나하나 부품을 생성하여 VPC를 조립해보겠습니다. 먼저 퍼블릭 서브넷과 프라이빗 서브넷을 구성해보록 하겠습니다. 각각의 서브넷을 사용하여 퍼블릭 서브넷은 10.0.0.x의 ip 주소를 프라이빗 서브넷은 10.0.1.x의 ip 주..
VPC란 ? VPC를 사용하면 AWS 클라우드에서 논리적으로 격리된 공간을 프로비저닝하여 고객이 정의하는 가상 네트워크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는데, VPC를 구축하게 되면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킹 환경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마디로, 가상 네트워크 구축 센터라고 할 수 있다. VPC는 처음 제공 되는 기본 VPC와 사설 VPC가 존재한다. 기본 VPC 사설 VPC 계정 생성시 자동으로 셋업 되어 있다. 모든 서브넷의 인터넷 접근이 가능하다. EC2가 퍼블릭 IP와 프라이빗 IP 모두 가지고 있다. 삭제시 복구 불가 새로 만들어야 함 기본 VPC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 VPC를 사용하여 할 수 있는 일들 - EC2 ..
Linux?? Linux는 오픈소스 운영 체제로 1991년에 Linus Torvalds가 만들었다. Linux는 GPL를 사용하여 출시되었는데, 따라서 누구나 소프트웨어를 실행, 연구, 공유, 수정할 수 있다. Linux의 구성요소 커널 - 운영 체제의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대몬 -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다. 애플리케이션 - 텍스트 편집기(Vim, nano), 웹 브라우저, 데이터베이스등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데이터 파일 - 텍스트 파일,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의 사용자 컨텐츠를 포함한다. 구성 파일 - 텍스트 파일에 저장된 Linux,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용 설정을 포함한다. Linux 유용한 명령어 명령어 기능 whoami, id, host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