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Elastic Block Store) ? 데스크톱을 구매해보신 분이라면 추가 옵션에 HDD 나 SSD를 더 추가할건지 선택하는 창을 보신적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이처럼 EBS(Elastic Block Store)는 EC2용으로 설계된 사용이 쉽고 확장 가능한 추가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물론 탈부착도 가능하며 하나의 EBS를 여러개의 EC2 인스턴스에 부착도 가능합니다. EBS 특징1) 스냅샷(Snapshot) 기능특정 시간 · 상황에 EBS 상태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즉, 사진을 찍어둔다는 말로 스냅샷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간혹 문서 작업을 하다가 Ctrl+S를 못눌러 문서를 날려보신 적이 있으실텐데, 이처럼 스냅샷은 복구를 도와주는 백업 방식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고 ..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 AWS에서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자신이 필요한 서비스를 빠르게 이용 및 삭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수백가지의 서비스 중 대표적이고 기본적인 서비스 중 하나가 바로 오토스케일링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이란, 사용자의 설정 혹은 모니터링에 따라 인스턴스의 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서버 부하 및 자원낭비를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스케일링 기법기본적으로 스케일링 기법은 스케일업(Scale-Up)과 스케일아웃(Scale-Out)으로 나뉘게 됩니다. 간략하게 스케일 업은 컴퓨팅 파워의 성능은 올린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게임을 좋아하시는 분이면 아시다시피, 게임에는 최소 사양이라는..
AWS에는 ELB(Elastic Load Balancer)라는 로드밸런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ELB의 종류로 GWLB(Gateway Load Balancer), ALB(Application Load Balancer), NLB(Network Load Balancer)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 되지만, 그 중 오늘은 NLB(Network Load Balancer)을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Network Load Balancer 실습NLB란?네트워크 로드밸런서는 OSI 7계층 중 4계층(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초당 수백만 개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로드 밸런서가 연결 요청을 바드면 기본 규칙의 대상 그룹에서 대상을 선택하여 지정된 포트에 있는 대상에 대한 TCP 연결..
Load Balancer ?로드밸런싱은 서버에서 처리해야 할 업무(트래픽)을 균등하게 배포하여 하나의 서버에서 과다한 트래픽 발생이 발생하여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다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트래픽이 한 곳에 집중되며 불편함을 호소했던 적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가령 좋아하는 가수의 콘서트를 가기 위해 티켓팅을 시도하는 중에 웹 서버에 부하가 걸리며 터진다면 티켓팅을 시도하는 사용자분들에게는 이보다 큰 재앙은 없을 것 입니다. 이처럼 서버의 부하가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로드 밸런싱 기법이 매우 필수적이며, 서버 각각 스펙의 퍼포먼스를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중요한 기법 중 하나 입니다. 로드 밸런서 기법 종류로드 밸런서는 서버의 성능을 고려해야 하기에 기법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IT 인프라 (IT Infrastructure)란, IT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으로 IT 구성 요소에는 서버, 스위치, 스토리지 같은 하드웨어 장비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같은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도 포함이 되게 됩니다. On-premise 데이터센터 위쪽의 그림은 데이터센터 각의 서버룸과 각각의 서버랙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여기서 데이터센터는 서버, 네트워크 회선등을 건물 혹은 시설을 의미하는데, 데이터센터에는 장비들을 안전하게 가동시키 위한 냉각시스템이 존재하며, 장비들은 랙에 마운트 되어 운영되게 됩니다. 평균적으로 랙은 유닛단위로 서버가 들어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42U 사이즈가 많이 사용됩니다. 데이터센터에는 랙에 수많은 서버들이 꽂혀있는데, 서버들에서 방출되는 열이 엄청나기..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솔루션으로 여기서 오케스트레이션이란 복잡한 단계를 관리하고 요소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미리 정의해 손쉽게 사용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수의 컨테이너를 유기적으로 연결, 실행, 종료할 뿐만 아니라 상태를 추적하고 보존하는 등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입니다. 쿠버네티스는 그 이름 자체가 하나의 긴 단어이기 때문에 문자 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약어를 만들어 ks의 형식으로 k8s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쿠버네티스의 구성 요소 간 통신 방법 개발자나 관리자나 파드라는 것을 배포할 때 구성 요소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그림에 나와 있는 숫자는 실제로 관리자나 개발자가 ..
https://js990317.tistory.com/34 [Vagrant] 기존 파일로 가상 머신 만들어보기 Vagrant? 베이그런트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제품 중 하나입니다. 언어 js990317.tistory.com 저번 실습에서는 베이그런트와 버추얼박스를 설치하여 기존 이미지 파일로 가상 머신을 만들어보는 실습을 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원하는 구성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Vagrantfile을 작성하여 가상머신을 생성해보는 실습을 해보려고합니다. # -*- mode: ruby -*- # vi: set ft=ruby : Vagrant.configure("2") do |confi..
Vagrant? 베이그런트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제품 중 하나입니다. 언어는 Ruby로 되어 있지만, Ruby언어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을 만큼 부담없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실습을 하기 앞서, 사전에 필요한 준비물 2가지가 존재합니다. 1.가상화 소프트웨어 버추얼박스 2. 베이그런트 각각의 파일 다운로드 링크는 밑에 준비되어 있습니다. 1. 버추얼 박스 설치하기 https://www.virtualbox.org/ Oracle VM VirtualBox Welcome to VirtualBox.org! News Flash New July 18th, 2023VirtualBox 7.0..